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개인사업자는 장부를 반드시 작성해야 할까요?

    간편장부 대상자부터 복식부기의무자까지, 장부 작성 기준과 미작성 시 불이익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

     

     

    개인사업자, 장부 꼭 써야 할까?

     

    네. 모든 개인사업자는 장부를 작성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다만, 수입 규모와 업종에 따라 간편장부 대상자와 복식부기의무자로 나뉘며, 장부 작성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추계신고할 경우, 세액공제·감면 제한뿐만 아니라 가산세 등 불이익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장부 작성 대상 기준

     

    구분 작성 방식
    간편장부 대상자 수입 규모가 업종별 기준 미만일 경우, 간단한 수입·지출만 기록
    복식부기 의무자 수입 규모가 기준 이상이거나 전문직일 경우, 재무제표 포함한 복식 기장 필수

     

    장부 미작성 시 불이익

     

    • 복식부기의무자 미기장: 무기장가산세 (산출세액의 20%)
    • 경비 인정 불이익: 실제보다 높은 과세표준 적용
    • 세액공제 및 감면 대상에서 제외
    • 소득세법상 결손금 인정 불가

     

    간편장부 대상자라도 장부를 작성하지 않으면 장부불성실가산세(산출세액의 20%)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 엑셀이라도 활용해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장부 작성 간단 가이드

     

    1. 수입기록: 날짜, 금액, 거래처, 품목

    2. 지출기록: 증빙자료(세금계산서, 영수증) 첨부 3. 장부 양식: 국세청 양식 또는 엑셀 사용

    4. 보관기간: 신고기한 후 5년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