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종합소득세율,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누진세 구조로 인해 단순 소득 합산만으로는 실제 부담 세액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2025년 적용되는 구간별 세율과 계산 예시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종합소득세율이란? 수입보다 더 중요한 기준

     

     

    나는 수입이 많지 않은데 왜 세금이 이렇게 많지?" 라는 생각, 혹시 해보셨나요?

    종합소득세는 단순히 '얼마 벌었는가'보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달라지는 세율 구조가 핵심입니다.

    바로 ‘누진세율’입니다.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만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방식이죠.

     

    따라서 자신의 소득 구간과 해당 세율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공제·경비 적용 후의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점, 잊지 마세요.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율표

    아래는 2025년 귀속 소득에 적용되는 종합소득세율표입니다. (지방소득세 제외)

    과세표준 구간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 6% -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이하 15% 108만원
    4,6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24% 522만원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이하 35% 1,490만원
    1억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38% 1,945만원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40% 2,545만원
    5억원 초과 45% 3,295만원

     

    세액은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여기에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가 별도로 부과된다는 점도 꼭 기억해 주세요.

    세율 적용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만약 당신의 과세표준이 5,000만 원이라면?

    • 적용세율: 24%
    • 누진공제: 522만 원
    • 계산: 5,000만원 × 24% - 522만원 = 678만원

    즉, 소득이 구간을 초과한다고 전체에 고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초과분에만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누진공제 덕분에 세 부담이 조정됩니다.

    이해가 어렵다면 홈택스의 종합소득세 계산기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세액을 확인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